STCubeMX 설치하기
--
ST사에서는 stm32f 시리즈와 l시리즈를 위한 공통적인 라이브러리를 지원한다.
이 라이브러리는 st보드들을 개발하기 위한 IDE에 전반적으로 사용된다.
즉, API를 콜하는 방법은 약간 다르지만 소스코드 자체는 동일하다.
** 참고로 2014년부터 CMSIS의 라이브러리의 구조가 약간 바뀌었다. HAL라이브러리로.
이러한 CMSIS 펌웨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업 코딩을 할 수도 있지만,
친절하게도, ST사에서는 STCubeMX라는 툴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Pin과 Clock Configuration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다.
이 툴을 이용하면, pin과 clock초기화를 GUI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자동생성된 코드를 프로젝트에서 바로 불러와 프로젝트를 빠르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는 영역을 분리하여, 프로젝트 중간에 configuration을 바꿀 수도 있다.
다운로드 받는 방법은 간단하다.
http://www.st.com/web/en/catalog/tools/PF257931 에 접속하여, STCubeMX를 설치하면 된다.
또한, 프로세서에 specific한 펌웨어를 다운로드 하기 위하여
http://www.st.com/web/catalog/tools/FM147/CL1794/SC961/SS1533/PF259242?sc=stm32cube
에 접속하여 자신의 프로세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면 된다.
( 굳이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하지 않아도, STCubeMX툴에서 자동으로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
프로젝트 생성을 눌러 적절한 보드를 선택하면 위의 그림과 같이 핀을 선택 할 수 있게 된다.
회색핀은 사용안함,
노란색핀은 사용하지 않지만, 다른 용도로 사용되도록 고정되어 있음.
초록색핀은 사용함을 뜻한다.
왼쪽에 있는 Periperals를 통하여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Clock Configuration탭을 클릭하면, 보드에서 사용하는 여러 버스들의 클럭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참고로 이 툴에서는 오른쪽에 값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프리스케일을 계산해 주는 기능이 있으므로 참고하도록 하자.
(뭐... 그거때문에 다른 값이 꼬이는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Project -> Setting에 들어가면 생성할 프로젝트의 이름, 버전이 나오게 되며 어떤 IDE를 타겟으로 자동생성코드를 만들건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필자는 eclipse 기반의 SW4STM32툴을 이용하여 공부할 계획이다. )
이제 빌드를 누르면 선택된 IDE를 타겟으로 하는 자동생성 코드가 만들어지게 된다.
관련글 :
STCubeMX를 이용하여 생성한 프로젝트를 SW4STM32를 이용하여 불러들이기
http://naudhizb.tistory.com/6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