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Manufacturing21 Digital Sundial(디지털 해시계) 위와 같은 그림과 같이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다른 모양으로 보이는 그림이 있다. 이 글에서 소개할 모델의 아이디어가 바로 여기서 나오게 된다. "각도에 따라서 다르게 보인다면, 각도가 달라지는 걸 이용해서 다르게 보이게 할수도 있는것 아닌가?" 이러한 발상으로 해가 뜨고 지면서 보여주는 시간을 디지털형태로 나타내 주는 모델이 등장했다. 그것이 이 Digital Sundial 이다. 원리와 작동영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참으로 신기하지 않은가?? 뽑아보고 싶다면 아래 사이트를 참고해보자. http://www.thingiverse.com/thing:1068443/#files 2016. 2. 11. 사진을 3d 프린터를 이용해 입체로 출력하고 싶다면? -- 1. 여러장의 사진을 합쳐서 하나의 입체로 된 물체를 출력 먼저 한 물체를 여러 각도에서 입체적으로 촬영한 파일이 필요하다. (같은 높이에서 돌아가면서 20장 정도?라고 되어있다. 자세한건 ref참조) 그다음 autodesk 123d(http://www.123dapp.com/)를 활용하면 여러 그림들을 3d 물체로 만들수 있다고 한다. 만든 3d모델의 오류들을 수정해주고, 원한다면 매쉬믹서를 이용하여 좀더 변형할 수도 있다. Ref.https://i.materialise.com/blog/how-to-make-a-3d-printed-object-from-a-photo-in-5-easy-steps 2. 한장의 사진으로 입체적인 3d 사진을 출력 http://www.thingiverse.com/thing.. 2015. 9. 25. 3d 프린터 구매 -- MWC 社(http://blog.naver.com/jeongcheoloh) 에서 판매하는 3d프린터를 구매하였다. 3d프린터를 직접 제작하는 것은 비용과 설계 시간에 대한 정확도 측면에서 상단한 애로사항이 있으므로 (가장 큰문제는 시간이다... 보통 설계부터 하면 해봤던 사람이 해도 1년정도 걸리고 금액도 수백 정도 깨진다고 하니...) 기성품을 구매하였다. 가공역역은 대략 각 축당 약 150mm 정도 된다. 이제 3d 파츠를 만들어서 직접 뽑아낼 수 있을듯! -- 2015. 7. 1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