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IY (125)
Brise
본 포스팅에서는 Marlin 펌웨어를 어떻게 빌드하고, 다운로드 하는지에 대해서 다룹니다. 1. 아두이노를 설치합니다. https://www.arduino.cc/en/Main/Software 2. 펌웨어와 의존 라이브러리들을 다운로드 받습니다.(프린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합니다.)(필자의 경우 SCV프린터를 사용하며 홈페이지에서 제공하여 다운로드 받았습니다. ) https://github.com/MarlinFirmware/Marlinhttp://blog.naver.com/jeongcheoloh/220237445163 3. 아두이노를 켭니다. 4. 보드 설정 및 매니저 설정을 합니다. - 툴 -> 보드 -> Arduino Mega 선택- 툴 -> 보드 -> 보드 매니저 선택 후 Arduino AVR Boar..
http://www.projectstoprint.com/index.php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온도차를 주었을 때 온도차이가 없을 때 1사이클 움직이는 엔진이 약 3번정도 움직였지만, 연속적인 동작에는 실패하였다. 원인을 문석해보면 1. 알루미늄 캔을 이용한 상-하판은 온도차가 발생하였을 때 부풀고 줄어드는 변형을 가지기 때문에 파워피스톤에 온도가 전달되는 것보다 캔 자체가 변형하여 압력을 상쇄한다. 2. 디스플레이서 간극은 적절하게 정리되었지만, 파워피스톤의 용적이 제대로 계산되지 않았다. 3. 2항의 이유로 파워 피스톤이 제대로 힘을 플라이휠에 전달하지 못하고 오히려 멈추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물론 온도차를 스토브 등을 이용하여 좀 더 올려 실험할 수 있었지만, 이 스털링 엔진에서 쓸 재료가 플라스틱, 폼보드인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제대로 된 작동을 불가할 것으로 판단하..
실린더 및 디스플레이서 재료- 저온(끓는 물) :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 중온 : 알루미늄, 동- 고온 : 철 실린더는 실링이 제대로 되어야 동작하는데 가능하다면 오링을 권장하나 큰 사이즈의 오링을 구하기 힘들다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실링제로 가능한 물품을 찾아보아 테스트 해보았다. - 목공용 딱풀(테스트해보지 않음.)- 글루건(핫멜트) : 제대로 밀봉되지 않음. - 실리콘 : 경화 시간이 오래걸리나 확실함. - 바셀린 : 밀봉은 되나, 경화되지 않음.- 에폭시 접착제 : 경화 후 신축성이 없어 큰 힘에 떨어짐. 실린더의 경우 최초 3d 프린터로 출력하였으나, 의외로 밀봉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약간 담궈 놓은 경우에는 안전하지만, 양압을 준 경우에 leakage가 발생함.) 주변..
에폭시 퍼티 10%, 그라파이트(흑연) 가루 90%
연휴를 맞아 스털링 엔진을 자작해보기로 했다. 스털링 엔진의 원리 스털링 엔진은 기체의 열팽창을 이용한 엔진으로써 원리는 아래의 동영상을 참조하자. 원리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기체가 뜨거우면 팽창한다.- 기체가 차가우면 수축한다.- 기체가 팽창하고, 수축하는 힘을 이용하여 휠을 돌리는 힘을 만들고, 돌아가는 힘을 이용하여 뜨거운 부분과 차가운 부분의 영역 비율을 조정한다. 물론 최근에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른 구조를 가진(e.g. 프리피스톤, thermo-acoustic, 링봄 등등)엔진들도 나왔지만, 기본 원리는 같다 할 수 있다. (나사의 프리 피스톤 스털링 엔진이 있으니 이부분에 대한 자료도 한번 찾아보자.) 스털링 엔진의 종류 스털링 엔진은 크게 알파, 베타, 감마, 링봄, 프리피스톤으로 나뉘며,..
http://kbdlab.co.kr/index.php?document_srl=4075870&mid=board_CDST33#comment_4076288
기계식 스위치를 알아보다 보면 Plate mount와 PCB mount의 두 모델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보강판용 스위치라 하며, 후자의 경우 무보강판용 스위치라 한다. 공학적인 차이는 무보강판용 스위치는 스위치에 추가적인 돌기가 달려있어 보강판을 쓰지 않고 PCB에 세우기만 하더라도 잘 작동할 수 있도록 흔들림을 줄이고 고정력을 증가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만약 사용자가 원하여 보강판용 스위치로 사용하고자 한다면, 간단하게 튀어나와 있는 돌기를 제거하면무보강판용 스위치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돌기를 자르는 고생은 감수해야한다.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다음의 그림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출처 : http://www.kbdmania.net/xe/tipandtech/2117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