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片鱗 (40)
Brise
일반 다이오드는 한쪽방향으로만 전류가 흐르고 반대 방향으로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주로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정류회로에 많이 사용되죠... 반면에 양방향 다이오드는 특수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표적인 양방향 다이오드가 TVS입니다. TVS는 표시된 전압이상이 되면 그때부터 전류가 흐르는데, 제너다이오를 두개 직렬로 연결한 형태죠...가령 입력전압이 100V인데 여기에 120V TVS를 연결해 놓으면 외부에서 순간적으로 서지 노이즈(수백V~수천V)가 들어올때 이 TVS에서 방전시켜 출력으로 120V이상은 나오지 못하게 해주는 것으로 주로 서지 노이즈와 같은 과전압 보호용으로 사용합니다. 서지 노이즈는 +가 들어올지 -가 들어올지 모르므로 양방향 모두 보호하기 위해 양방향다이오드로 구성..
FMEA (Failure mode effective anaysis)[출처] 16. FMEA|작성자 Manager K
http://www.joysf.com/forum_sf/4706282 http://blog.daum.net/smileru/8888521
우주에서 사용하는 프로세서는 도대체 무엇이 다를까? 지구과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약간은 감이 올 지도 모른다. 바로 '공기'와 '방사능'이다. 공기가 없는 것은 사람의 활동에는 문제가 되지만, 로봇과 같은 기계에는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방사능의 경우에는 얘기가 다르다. 방사능은 인체 조직을 파괴할 뿐더러, 로봇이 동작하는 칩과 회로도 파괴가 가능하다.(* 방사능과 프로세서의 동작의 상관관계 : http://gigglehd.com/zbxe/newsreport/7192511) 로봇 하나를 우주로 내보내는데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드는 우주항공 산업에서는 최대한 '잘 동작한다는것을 보장 할 수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고, 그 방법이 포스팅 제목에 있는 'RAD 6000' 과 'RAD 750' ..
1. 2가닥으로 머리 땋기 (일명 지네머리땋기) 머리는 이쁜데 하필 왜 이름이 지네머리땋기인지 모르겠다. 2가닥으로 머리를 땋으려면 머리를 계속 위로 쌓다가 머리가 다 떨어지면 남는 머리로 이어간다. 2. 3가닥으로 머리 땋기 머리를 3가닥으로 나누어 잡은 뒤에 1번과 2번을 반복한다. 3. 4가닥으로 머리 땋기 맨 오른쪽에 있는 머리를 아래로 가져와 위로 올린뒤 중간에 놓는다. 마찬가지로 다음으로는 맨 왼쪽에 있는 머리를 아래로 가져와 위로 올린뒤 중간에 놓는다 위의 과정을 반복한다. 일반적으로 4가닥으로 머리 땋기는 아래에 설명된 체크무늬를 많이 사용한다. 맨 오른쪽의 머리를 위쪽으로 넘기고 그다음으로 아래쪽으로 넘긴다. 다음으로 맨 왼쪽의 머리를 아래쪽으로 넘기고 위..
-- -- 빛을 굴절 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렌즈에서 사실상 필요한 부분은(빛을 실제 굴절 시키는 부분) 사실 렌즈 전체 부분이 필요한 부분이 아니고, 렌즈의 테두리 부분만이 필요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렌즈의 테두리 선만을 똑같이 사용할 수 있으면 같은 렌즈를 더욱 얇고 싸게 만들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에서 만들어진 렌즈가 바로 프레넬 렌즈이다. 물론 소구경에서는 쓰지 않고, 대구경 렌즈를 만들 때 쓴다고 한다. 비싸니깐... -- --
물의 전기분해로부터 얻어지는 가스 2H2 + O2 이지만 특수한 분자 결합 구조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http://blog.naver.com/esjpark/110102065881 산수소 가스를 만들때 적절한 교반 과정을 가하면 기포없이 생성 할수 있다고도 하는것 같다. 응용 분야가 넓어보인다. http://www.suprememastertv.com/kr/services_menu.php?bo_table=te_kr&flag=1&show=ajt&subt_cont=ajar&wr_id=58
1. 질량중심이 이동하는 방향과 에너지.- 에너지 (줄) 2. 질량 중심에 대해 회전하는 회전 관성-회전 안정법- 총알- 자이로스코프 3-1.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매그누스 효과(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한 압력하락)위키-매그누스효과- 야구공, 축구공- 에어 소프트건의 홉업 3-2. 회전이 없음에 따라 발생하는 카르만 소용돌이.- 불규칙적인 와류 생성- 유체역학적인 모델링 필요. 4-1. 탄체의 진행방향에서 마주치는 매질(공기) 에 따른 공기저항 (v^2에 비례) - 날개 안정법- 로켓탄 및 날탄 4-2. 고속의 탄체에서 매질의 에너지에 따른 효과??-공기의 플라즈마화 5. 매질의 흐름에 따른 이동- 바람- 전체 Global 좌표의 이동 6. 중력- 9.81m/s^2 7. 코리올리힘 번외 총이 발사될 때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