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片鱗 (40)
Brise
세계 3대 진미 캐비어 (철갑상어의 알을 소금에 절인 것)푸아그라 (거위의 간)트뤼플 (송로버섯) 일본 3대 진미 숭어어란해삼창자성게알 3가지 모두 날 것을 먹기도 하지만, 말리거나 젓갈로 담은 것을 진미로 여긴다. 숭어어란: 말린 숭어알을 그대로 또는 얇은 막을 잘 벗겨내고 표면에 술을 발라 불에 살짝 구운 다음 아주 얇게 썰어 술안주로 내기도 한다. 해삼창자: 해삼창자젓은 신선한 해삼의 창자를 소금에 절인 것으로 병조림으로 만들어 판매되고 있다. 해삼창자가 길수록 상품이고, 호박색을 띠며 윤기가 나 는 것이 좋다. 먹을 때는 먹기 좋게 잘라 미린과 달걀노른자를 약간 넣고 버무 린 뒤 작은 그릇에 담아 술안주로 내기도 한다. 성게알: 신선한 것은 오렌지색으로 윤기가 돌면서 탱탱하지만, 오래된 것은 윤기..
-- -- http://www.onnlife.or.kr/?SITE=11&MENU=111011&ACT=RD&u_inx=298 https://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529150 http://www.ichpedia.org/pedia/pedia_view/?sType=1&Keyword=%EC%9A%B0%EC%82%B0 1960년대까지는 많이 사용했다고 하는 지우산. 얼핏 생각하면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오는 우산과 비슷해 보인다. 한지 전시회같은게 일본에서도 열린다고 하니... 우리나라보단 일본에서 더 잘 대우해 주는건가?? 아무래도 집 근처인것 같으니, 나중에 한번 찾아가 보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꼭 구매하고 싶은 아이템중 하나. -- --
-- -- -- --
-- -- (goldberg machine)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일을 복잡하게 만들어 실행하는 장치 https://mirror.enha.kr/wiki/%EA%B3%A8%EB%93%9C%EB%B2%84%EA%B7%B8%20%EC%9E%A5%EC%B9%98 가장 간단한 예를 들면 풍선껌 자판기가 있다. 그냥 풍선껌을 내놓으면 되는것을 굳이 올려서 복잡하게 떨어뜨리는 것을 보여주는것. 이와 비슷한 류의 장치들이라 보면 될듯 하다. 한마디로 '디게 쓸데없는데 갖고싶은거...' -- --
--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001&aid=0006511159 하버드대학과 MIT대학 물리학자들로 이뤄진 팀은 영화속의 광선검과 똑같이 움직이는 새로운 분자를 구성하기 위해 광자(photon)를 한데 묶는 방법을 발견했으며 과학저널 '네이처'(9월 25일자)에 연구보고서를 실었다. 네이쳐지에 실린 내용 http://www.nature.com/nature/journal/v502/n7469/full/nature12512.html -- --
-- -- http://diyturbinejet.com/http://www.rmcybernetics.com/projects/DIY_Devices/homemade_jet_engine.htmhttp://www.salvatoreaiello.com/main.shtml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eebeam&logNo=30175151058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967066199000787http://turbocrazy.tistory.com/267http://www.rchelicopterfun.com/model-jet-engines.htmlhttp://www.thingiverse.com/thing:3..
-- -- Orig. title : A Guide to the Drilling, Reaming, and Broaching a Bolt Action Receiver at Home 집에서 볼트액션 방식 라이플의 캐리어가 움직이는 공간인 리시버를 만드는 문서인듯 하다. -- --
-- 기 필자가 어렸을 때에, OCN에서 해주는 잠수함 영화를 보다가 정말 꽂힌 물건이 하나가 있었다. 바로 '아날로그 스탑워치' 이다. 바로, 100m달리기를 할 때에 사용하던 것과 같은 쓰임새로 쓰이는 바로 그 'STOPWATCH'말이다. 생김새는 마치 손목시계가 나오기 이전의 회중시계와 비슷하게 생겼다. ( 영화 K-19 중 에서 나오는 아날로그 스탑워치 ) 생김새가 다른 이유는 (당연히도) 사용하던 국가(소련과 미국) 이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생각해보면 쿼츠 무브먼트가 보급화 된지는 생각보다 그리 오래되진 않았기 때문에 쿼츠가 만들어지기 전에는 당연히 짧은 시간을 재기 위해서는 스탑워치가 필요했을 것이다. -- 승 이 아날로그 스탑워치를 사용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당연히 간단할 수 밖에 없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