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片鱗40

Slingshot effect(슬링샷 효과) 탱탱볼 2개를 세로로 겹쳐 아래로 떨어뜨리면 갑자기 탱탱볼이 저 하늘로 솟아 오르는 것을 관찰 할 수 있다. 마치 물리적으로 말이 안되는 것마냥 움직이는 것인데 (보통은 내가 떨어뜨린 높이보다 높게 올라가는건 이상하지 않은가!) 하지만, 이것도 정확히 물리적으로 설명 할 수 있다. 이른바, 슬링샷 효과(Slingshot effect)이다.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으로 설명한다. 내용 자체가 그리 어렵지 않으므로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슬링샷 효과를 이용해서 레일건이나 코일건을 구성한다면 더 빠른 속도로 발사할수 있지 않을까? 예를들어 초속 1000m/s 로 발사되는 탄두가 있다고 할때 위의 원리를 이용한 장치를 활용하면 200m/s까지는 가속할수 있지 않을까 싶다. 초기 가속속도를 벌었으니, 배럴 길.. 2014. 8. 18.
Enigma 사실 '암호'라는 것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쥴리어스 시저'의 암호를 알것이다. A->D로 치환시켜 암호화시킨 그 암호 말이다. 2차 대전에서 가장 중요한 분수령이 된 사건인 에니그마 해독도 그 암호화 같은 원리를 채택하고 있다. 에니그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얼핏 보면 어려워 보이지만 원리 자체는 간단하다. 처음의 발상은 다음과 같다. 시저 암호는 3개씩 순차적으로 밀렸지만 그렇지 않다면? 그렇게 Rotor하나가 만들어지고 그 Rotor가 한 글자마다 움직인다면 더 어려워 질 것이기 때문에 Moving Rotor가 만들어졌다. 물론 Rotor가 여러개일수록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에 Rotor는 여러개(처음에는 3개 전시에는 5개) 가 되었다. 이것이 에니그마 자체의 원리이다. 여기서 약간의 부가적인.. 2014. 8. 18.
탐지 장치 파동- 청음기- SONAR> 온도에 의한 회절현상> 파동의 전파속도에 의한 시차> 소음 억제기술 전자기파- RADAR (s-band, x-band)- LiDAR- 가시광선- 적외선- 열선- GPS> 파장에 의한 분해능> 회절에 의한 강인성 (투과성)> 호이겐스의 원리에 의한 위상배열(phased array)> Noise filtering> 도플러효과에 의한 속도 탐지> 주파수 mix로 anti-jamming 성능 전자기장- radio wave- 자기장 2014. 8. 12.
CIWS 근접 방어체계 일반적으로 대함 미사일에 대적하여 미사일 격추나 채프와 같은 방법들이 실패했을 경우에 대비한 최후 방어체계 보통 20mm ~30mm 의 총알(?)을 사용하며 게틀링방식으로 빠른시간안에 많은 총알을 발포하여 최대한 높은 확률로 격추할수 있게한다. CIWS의 레이더는 대략 3단계로 구성되는데 1. 장파장- 장거리 레이더 2. 중파장- 타겟 tracking 레이더 3. 단파장 - 미러이미지 제거, 타겟 추적 레이더 이다. 2-3의 조합으로 시스키밍 방식의 미사일도 효과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 추적 알고리즘은 칼만 필터와 같은 예측성 알고리즘을 사용할 것으로 추정한다. 2014.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