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Y126 오디오용 4선 선꼬기 -- -- 일단 끝 부분을 묶거나 한곳에 고정시키고, 4가닥을 두손에 나누어 잡는다. 선을 꼬는 방법은 선을 왼쪽부터 1 2 3 4 라고 한다면 4번 선을 아래로 돌려 1 4 2 3 이 되게 만든다.(맨 오른쪽 선이 왼쪽에서 2번째로 오게) 그다음에 위로 돌려 1 2 4 3 이 되게 만든다.( 4번줄이 아래로 돌아 2번자리로 -> 위로 돌아 3번자리로) 쉽게 생각하면 맨 오른쪽 줄이 2번줄을 반바퀴 감은 셈이 된다. 이제 줄상태는 1 2 4 3 이 되고 왼쪽에 있는 1번줄을 가지고 4번줄을 반바퀴 감아서 1 2 4 3 (아래로 돌아)2 4 1 3 (위로 돌아)2 1 4 3 과 같은 상태로 만든다 이것을 오른쪽 선, 왼쪽 선에 대해 반복하면 된다. 이제 양 채널 선을 나누어야한다면, 양 선을 나누어잡고 빙.. 2014. 9. 13. 사진 1. 멀티스타 45A ESChttp://www.hobbyking.com/hobbyking/store/__25366__Turnigy_Multistar_45_Amp_Multi_rotor_Brushless_ESC_2_6S.html 2. Exceed RC Rocket 3015-1100KV Brushless Motor for RC Plane (http://www.hobbypartz.com/86mb87-3015-1100kv.html) 3. 10*4.5 Prop https://www.hobbyking.com/hobbyking/store/__25824__10x4_5_SF_Props_Black_CW_2pc_CCW_2pc_.html 2014. 9. 13. 베어링 규격 -- -- 예1) 608 C2 P6 60 -> 베어링 계열기호, 단열 깊은 볼베어링 6, 치수계열 10 8 -> 안지름 번호(베어링 안지름 8MM) C2 -> 틈새기호(C2 틈새) P6 -> 등급기호(6급) 예2) 6312 Z NR 63 -> 베어링 계열기호, 단열 깊은 볼베어링 6, 치수계열 03 12 -> 안지름 번호(베어링 안지름 60MM) Z -> 실드기호(한쪽 실드) NR -> 레이스 형상기호(정지륜 부착) 예3) 7206 C DB 72 -> 베어링 계열기호, 단열 앵귤러 볼베어링 7, 치수계열 02 06 -> 안지름 번호(베어링 안지름 30MM) C -> 접촉각 기호(호칭 접촉각 10˚ 초과 22˚ 이하) DB -> 보조 기호(뒷면 조합) 예4) 6902 ZZ 첫째자리: 베어링종류 / 6 ->.. 2014. 9. 5. SLAM SLAM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대부분의 로봇 시뮬레이션은 Map이 주어져 있을 때 로봇의 위치를 찾아내는 Localization, 혹은 로봇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을 때 Map을 만들어가는 Mapping이다. Map과 localization을 동시에 하기 때문에 오버헤드가 크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2가지 이다.EKF-SLAMFastSLAM EKF SLAM은 칼만 필터의 전제를 가지고 SLAM을 수행한다.칼만필터는 그 때의 상태가 그 자신에게만 dependent하다는 가정을 깔고 있기 때문에 계산량이 많고 오버헤드가 크다. FastSLAM은 몬테카를로 방법(파티클 필터링)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실 EKF는 가우시안 분포를 가정하고 파티클 방법.. 2014. 9. 5. 레이저로 만드는 도청기? 출처 : https://kldp.org/node/85702 위 동영상에 설명이 잘나와 있지만 간단하게 번역해서 설명하자면 1. 레이저 포인트 아무거나 하나 구해서 카메라 삼각대에 올려 알아서 고정시키고 도청 하고자 하는 창문에 그 레이저빔을 쏘아줍니다. 2. 헤드폰 남아도는거 중에 하나 선을 잘라서 피복을 벗기고 내부에 선이 색깔 별로 3개가 있을껀데 , 그 세개를 나중에 이용할 수 있도록 노출 시킵니다. 3. 싸구려 광전지를 하나 구해서 헤드폰 선에 연결하는데 한쪽 다리에 검정색 라인을, 나머지 두선은 다른 선 두개에 용접을 시키든 알아서 연결해주시고 , 역시 카메라 삼각대든, 고정가능한 곳에 올려둡니다. 4. 간단하게 작동 이치가 어찌되냐 하면 레이저 포인터에서 나간 빔이 창문에 맞고 반사되는걸 광전.. 2014. 9. 2. 모터 제어 기초 1. 브러쉬 모터의 구조와 기초, PID 개념 http://www.ktechno.co.kr/pictech/motor00.html 2. 브러쉬리스 모터의 구조와 기초 http://cafe.naver.com/epowerrc/1 3. 브러쉬리스 모터 센서리스 기초 http://blog.naver.com/motor_bank/60193002580 2014. 9. 1. 이전 1 ··· 17 18 19 20 21 다음